cli환경에서 기존 프로세서 종료 방법 :
lisof 도음내용:
lsof란?
lsof는 **“List Open Files”**의 줄임말로,
현재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파일이나 네트워크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.
✅ -t 옵션
• 뜻: “terse” (간단한 출력)
• 기능: PID만 출력
→ lsof의 기본 출력은 열려 있는 파일, 사용자 등 많은 정보를 보여주지만,
-t 옵션을 사용하면 간단히 프로세스 ID(PID)만 출력합니다.
🟢 예:
lsof -t -i :3000
→ 3000번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PID만 출력
-i 옵션
• 뜻: “internet” 또는 “network interface”
• 기능: 네트워크 관련 정보 필터링
-i 옵션은 특정 포트나 프로토콜, IP 주소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검색할 때 사용합니다.
🟢 예:
lsof -i :3000
→ 3000번 포트를 사용하는 모든 프로세스 정보 출력
→ -t를 함께 쓰면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PID만 출력
PID (Process ID)는 프로세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숫자입니다. 각 프로세스는 운영 체제에서 고유한 PID를 부여받으며, 이를 통해 프로세스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집니다. PID는 프로세스 관리, 디버깅, 리소스 모니터링 등에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포트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찾거나 종료할 때 PID를 활용합니다.
맥환경에서
PID 확인하기 : lsof -t -i : 3000
프로세서 종료하기: kill -9 PID값
📌 주의사항
• -9은 프로세스가 파일 저장, 정리 작업 등을 하지 못한 채 즉시 종료됩니다.
→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• 가능하면 -15 (기본값, SIGTERM)을 먼저 시도하고, 안 될 때 -9을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:
kill [PID] | 기본값 SIGTERM (정상 종료 요청) |
kill -15 | SIGTERM (정상 종료 요청) |
kill -9 | SIGKILL (강제 종료, 복구 불가) |
윈도우환경에서
PID 확인하기 : netstat -ano : finstr:3000
프로세서 종료하기: taskkill |F |PID값
추가 알아두면 좋을 내용 :
- 포트별 네트워크 연결 확인:
- lsof -i :80 명령은 포트 80에서 열려 있는 모든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줍니다.
- 출력 예시:
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/OFF NODE NAME nginx 1234 root 6u IPv4 12345 0t0 TCP *:http (LISTEN) nginx 1234 root 7u IPv6 12346 0t0 TCP *:http (LISTEN)
- 특정 사용자가 열어 둔 파일 확인:
- lsof -u <사용자> 명령은 특정 사용자가 열어 둔 모든 파일을 보여줍니다.
- 예시:
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/OFF NODE NAME bash 1234 user cwd DIR 8,1 4096 1234 /home/user bash 1234 user rtd DIR 8,1 4096 1234 /
- 특정 프로세스의 열린 파일 확인:
- lsof -p <프로세스ID> 명령은 특정 프로세스가 열어 둔 파일을 보여줍니다.
- 예시:
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/OFF NODE NAME bash 1234 user cwd DIR 8,1 4096 1234 /home/user bash 1234 user rtd DIR 8,1 4096 1234 /
- 특정 명령어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파일 확인:
- lsof -c <명령어> 명령은 특정 명령어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가 열어 둔 파일을 보여줍니다.
- 예시:
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/OFF NODE NAME nginx 1234 root 6u IPv4 12345 0t0 TCP *:http (LISTEN) nginx 1234 root 7u IPv6 12346 0t0 TCP *:http (LISTEN)
주의사항:
- 슈퍼 유저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.
- 실행 시간은 파일 시스템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'웹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멘탈모델 조사 (0) | 2024.10.04 |
---|---|
VScode 단축키 정리 (1) | 2023.07.16 |
tag ranking 정보 확인 사이트 (0) | 2023.03.19 |
웹프로그래밍 언어 랭킹 (0) | 2023.02.16 |
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(single-page application, SPA) (0) | 2022.06.03 |